연구실적 |
학술논문 |
- 2021. 소셜 뉴스 이용과 뉴스 관여가 세대별 정치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. <한국언론학보>, 65권 1호, 5-34. (1저자)
- 2021. “DNT LET ’EM H8 U!”: Applying the routine activity framework to understand cyberhate victimization among adolescents across eight countries. Computers and Education, 160, 1-13. (7저자)
- 2020. 다매체 시대, 한국의 소비자는 누구일까?: 한국의 소비자 유형과 광고매체 효과 비교. <광고연구>, 126호, 5-41. (1저자) ★한국광고홍보학회 우수논문상 수상
- 2020. TV광고와 디지털 광고가 만났을 때: 크로스 미디어 광고 효과와 다중매체 이용도에 따른 광고 효과. <광고연구>, 125호, 62-89. (1저자)
- 2020. 미디어 및 프로그램 장르별 이용량,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,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. <여성연구>, 104권 1호, 125-151. (1저자)
- 2020. Protest participation experiences and media uses in urban protests: A
conceptualization and empirical examination.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,
14, 959-979. (1저자)
- 2020. A routine activity approach to understand cybergrooming victimization among
adolescents from six countries. Cyberpsychology, Behavior, and Social Networking.
DOI: 10.1089/cyber.2019.0426 (6저자)
- 2020.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TV 광고 평가 모델 도출과 측정 지표에 관한 연구. <광고학연구>, 31권 1호, 87-111. (교신)
- 2019. An empirical encounter of cultural orientation and cultivation: Factors of
perception of materialists realities and dealing with materialism of university
students in South Korea. The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, 4(7),
226-250. (교신)
- 2018. 플랫폼에 따른 건강정보추구 행동의 영향요인과 결과: 사회경제적 요인,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, 사회적 지지, 생활만족을 중심으로.
<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>, 17권 1호, 1-46. (1저자)
- 2018. Twitter as a place where people meet to make suicide pacts. Public Health,
159, 21-26. (2저자)
- 2018. Why Korean young women consumers buy luxury goods? The influence of cultural
orientation and media use. The East Asi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, 8(2),
23-32. (교신저자)
- 2017. 부모 커뮤니케이션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: 자기 통제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. <언론정보연구>, 54권
2호, 80-113. (1저자)
- 2017. Differences in friendship networks and experiences of cyberbullying among
Korean and Australian adolescents.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, 178(1), 44-57.
(2저자)
- 2016. 외향성과 연령대에 따른 소통공간 인식의 차이 : 공간지각, 시간배분 및 연결성과 공존감을 중심으로. <한국언론학보>, 60권
4호, 235-262. (2저자)
- 2016.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? : 정부기관 루머에 대한 인터넷 공중의 개입과 책임귀인 간 관계 탐색. 60권 4호, 120-150. (2저자)
- 2016. 사회불안과 대인불안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: 사회비교와 정보추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. <한국언론학보> 60권 3호,
237-267. (1저자)
- 2016. 한국 청소년의 집단 따돌림에 대한 심층인터뷰 연구: 따돌림의 유형화 및 소셜미디어의 역할을 중심으로. <언론정보연구>, 53권
1호, 267-309. (2저자)
- 2015. 한국의 디지털 원주민과 디지털 이주민: 온라인 콘텐츠 이용, SNS 네트워크, 사회적 관계 인식을 중심으로. <한국방송학보>,
29권 2호, 5-40. (1저자)
- 2015. 나는 예쁘다, 고로 존재한다?: 한국 미용성형 보도기사에 대한 내용분석 및 여성 수용자 반응의 탐색. <한국언론학보>, 59권
1호, 183-215. (1저자)
- 2014. 웹 공간 이용만족도와 기관 명성 간의 관계. <홍보학연구>, 18권 1호, 70-106. (1저자)
- 2012. 이주민과 헬스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탐색적 연구 : 건강 인식, 병의원 이용, 헬스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중심으로. <한국방송학보>,
26권 4호, 344-385. (교신저자)
- 2011. 정보원의 공신력과 이성적·감성적 메시지 유형이 사회적 지지, 태도, 건강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: 건강 관련 검색 서비스의 답변을 중심으로.
<한국언론학보>, 55권 5호, 128-157. (1저자)
|